하이트진로에서 내년 창사 100년 기념 신제품을 낸다고 한다. 이 신제품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미 출시한 맥주가 '맥스'인데 처음에는 정말 맛있다고 생각 하였으나 점점 맛이 떨어지는 기분은 나만이었을까? 매출이 점점 떨어졌다. 이를 탈피하고자 새로 만든 것 같은데 오늘 하이트진로 주가는? 장 열리고 확 상승세로 가는 중이다. 하지만 딱 5년전 주가와 동일하다. 과연 효과가 있을까?
한식 홍보에 정말 진심인 적이 있었다. 무한도전, 박근혜 임기 시절 김치 애니메이션 등... 하지만 정말 문화의 힘이 중요하다. 같은 음식인데 외국에서의 반응이 천지차이로 다르다. 특히 떡볶이의 경우 예전에는 식감이 별로라고 하면서 외국에서는 먹히지 않는다고 하였지만 지금은 떡볶이 시장이 엄청 크는 중이라고 한다. 콘텐츠의 힘은 예상치 못한 곳까지 뻗어 나가나 보다.
미국 상장 크루즈 주식을 살펴보니 1년 전 가격보다 거의 40~50%나 하락했다. 거의 100%나 상승해야 같은 가격이 오는 것이다. 언제쯤 시장이 좋아질까?
미국이 IRA를 빌미로 무역전쟁을 하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31일에 전기차 세제 혜택과 관련한 세부 지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니 양극재, 배터리 관련 주식 투자자들은 촉각을 세우고 노려봐야할 뉴스이다. 양극재가 현행처럼 부품이 아닌 광물로 분류한다면 지금처럼 양극재 관련 주식이 좋을 것이고 그 반대라면 하락하게 될 것 같다. 또한 중국산 배터리 장착한 미국산 전기차에 혜택을 줄인다면 테슬라의 모델3는 보조금을 받지 못해 매출에 타격이 있을 것 같다. 이는 현차에 약간의 호재로 될 수도 있다.
요즘 한전의 적자라는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있다. 아마 소비자들에게 에너지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지속적으로 호소하는 것 처럼 보였다. 하지만 요즘처럼 경기가 좋지 않고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은 서민들에게는 10%이상의 인상은 너무하다.
※ TED스프레드 Treasury-Eurodollar (ED) spread = 리보금리(유로달러) - 미국국채금리
'TED스프레드 = 3개월만기 리보금리 - 3개월만기 미국채금리' 입니다. 예를 들어 3개월만기 리보금리가 3%이고, 3개월만기 미국채금리가 1%라면 TED스프레드는 2%포인트가 됩니다. (https://ecodemy.cafe24.com/tsmean.html)
※ 리보(LIBOR,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런던 은행간 금리)는 런던의 주요 은행 사이에서 단기자금을 조달하는 이자율을 말한다. 이자율은 콜 금리(overnight rate)부터 장기 이자율도 포함한다.
※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 – 국채 수익률
고위험, 고수익을 대표하는 하이일드 채권(High-Yield Bond)은 투자 등급 채권보다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높지만 그만큼 이자율도 높다. 세계적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 평가기준으로 ‘Ba1’ 이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평가기준으로 ‘BB’ 이하인 채권이 이에 속한다. 하이일드 채권은 ‘정크본드(junk bond)’라고도 불린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High-Yield Bond Spread)는 일반적으로 특정 등급의 하이일드 채권 수익률과 안전자산인 국채 수익률을 뺀 수치를 말한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는 신용 스프레드(credit spread)라고도 한다. 시장의 위험지표로 많이 사용된다.
※ 경기선행지수(Composite Leading Indicators : CLI)란, 6개월 후의 경기흐름을 예측하는 경기 전망 지표로, 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플러스)하면 경기 상승을, 하락(마이너스)하면 경기하강을 의미한다. 경기의 방향을 가늠하는 것으로 절대수치보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이 큰 의미를 지니며, 경기선행지수가 반년 연속 하락하면 경기가 꺾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한다.
https://data.oecd.org/leadind/composite-leading-indicator-cli.htm
리치세션이 매우 콩글리쉬 같은 느낌이 들어서 구글링해보니 실제로 영미권에서도 사용하는 단어이다. 미국에서는 지난 달부터 부자들의 소비가 변화함을 감지했나보다. 실업률이 여전히 좋아서 경기침체라는 것을 애써 외면하고 있지만 실제로 부유층(아래 기사에서는 부유층을 the well-to-do나 people of means로 표현함)의 소비 패턴이 바뀌고 있다는 기사를 아래와 같이 공유한다.
https://robbreport.com/lifestyle/finance/richcession-wealthy-americans-economic-downturn-1234809495/
연합뉴스에서 연금개혁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준 유튜브 영상을 발견해서 공유한다. https://youtu.be/_NcagZ3FKXU
프랑스가 연금개혁때문에 전국민이 시위에 참여하고 있으며 폭력이나 방화로도 번지고 있다고 뉴스가 보도되고 있는데, 한국이야말로 연금개혁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전세계에서 출산율 꼴찌인 나라로 2040년이 되면 역삼각형 모양으로 인구피라미드가 예상되는 지금, 현재 한국의 연금은 손을 봐야만 하는 상황이지요. 현재 한국은 월급의 9%를 회사, 개인 반반씩 부담하고 있으며 연금을 받는 시기에 월급의 40%를 받는 구조이나 노령화 사회로 9%를 내고 있는 이 보험료율을 15%로 인상을 해야만 하며 받는 시기도 점차적으로 59세에서 64세로 미뤄야한다는 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제 관련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문] 2023년 4월 6일자 신문 기사 및 코멘트 (2) | 2023.04.06 |
---|---|
KBS x 장하준 교수 - 세계 및 한국 경제 이슈 인터뷰 정리 (0) | 2023.04.03 |
[꿀정보] 쉬운 경제 뉴스 추천! - 디그 (0) | 2022.12.12 |
[매매일지] 한국금융지주 매도 기록 (0) | 2022.12.01 |
[투자일지] 제 400회 키움 ELB 삼성전자 주가 연계 상품 / 최대 6.2% / 청약 결과 (0) | 2022.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