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론을 우선 말씀 드리자면, 여유 자금이 있으시다면 연금저축에 600만원을, 그리고 IRP에 300만원을 입금하시면 3월 연말 정산시에 100만원 이상 돌려 받으실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연금에 대해 잠시 알아볼까요.
우선 연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국가가 책임져주는 국민 연금, 그리고 개인이 추가로 투자하는 개인 연금 입니다.
이 둘다 국가가 공적 비용을 줄이고 개인의 노후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을 만드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국민연금 : 일하는 동안 개인과 사업체가 50:50으로 비용을 대는 기간을 비율로 은퇴 이후 주는 연금 (내는 돈 대비 비례하지 x)
개인연금 : 국가가 직접 연금을 주는 것이 아니고, 개인적으로 금융상품에 투자해서 돈을 굴려서 만든 돈 비례해서 은퇴 후 받는 연금 / 연말정산때 세액 공제 및 연금으로 받을 때에 낮은 소득세가 부과하는 국가의 간접적인 도움이 있음 / 만기 이후 원하는 기간과 금액을 정해서 찾는 시스템
또 개인연금은 100% 규제 없이 스스로 굴릴 수 있는 연금저축, 그리고 30%는 안전 자산에 넣어야만 하는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 매년 연금저축에는 400, IRP에는 300을 납입하였는데요, 연금저축 한도가 200만원 더 늘어 총 600+300 을 넣을 수 있다고 합니다.
IRP 만기 이후 연금으로 받을 시 혜택 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9Wih/btsCAhDUTN1/tmpfg4VVR2kHpy7VsIDGVk/img.gif)
반응형
'경제 관련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외부 감사를 받아야 하는 회사 기준 - 전자공시 대상 회사 / Dart에 없는 회사 (0) | 2024.06.16 |
---|---|
[꿀팁] 재테크 방법 (0) | 2024.01.07 |
[경제] 미국 국회의원 제도 설명 (디그 한입경제) (0) | 2023.06.05 |
[기사] 오늘의 흥미 돋는 기사 모음 (2) | 2023.05.29 |
[신문] 2023년 4월 6일자 신문 기사 및 코멘트 (2) | 2023.04.06 |
댓글